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천 교육
- CAD 휠 줌 반전
- AUTO CAD
- 3D프린터 공부
- 웹소설
- 재료역학
- 방울토마토 키우기
- CAD 라인 명령취소
- 창작소설
- 도장전처리
- 안나
- 도장개념
- CAD 마우스 조작
- NX12
- CAD화면 조작
- 전착도장
- 3D프린터 운용기능사 공부
- 피도물 전착도장
- 소설
- 새싹 키우기
- wol
- 안나의 모험
- UGNX12
- 인터넷 소설
- 판타지 소설
- 인천 무료교육
- CAD zoom
- 전착도장 원리
- CAD 확대 축소
- 티스토리 소설
- Today
- Total
안나의 다락방
1장 - 재료역학이란? 본문
'재료역학' 이란 물체의 변형을 다루는 학문을 말한다.
그럼 여기서 또, 물체란 무엇인가?
물체란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사물을 뜻하고, 물질은 물체를 만드는 재료를 말한다.
그리고 물체의 변형이라 함은 변형이 가는 물체, 즉 강체(변형이 없는)가 아닌 변형체를 뜻한다.
예를들어 책상 위에 커다란 지우개가 놓여있고 이 지우개에 누르는 힘을 계속 더한다고 가정해 보자.
약한 힘에서 점차 힘을 가하면 오른쪽과 같이 지우개가 움푹 눌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변형이다.
변형은 변형인데 얼마만큼의 변형이 가는지를 가지고 공식을 꺼내어 풀어내는 것이 재료역학의 주요 핵심이라 볼 수 있다.
얼마만큼의 힘! 그리고 이 힘으로 하여금 물체에 얼마큼 변형이 갔는지 시작점에서 눌린 점까지의 거리가 2mm가 되는지
3mm가 되었는지 우리는 이것을 공식화하여 풀어낼 수 있게 되며, 우리는 점차 설계하는 데 있어 안전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기계에 얹히는 내용물의 무게에 따라서 기계가 견디는 힘이 있을 것이다.
그에 맞게 공식을 세워 계산한다면 기계 다리에 어느 정도 하중을 견뎌낼 보강대의 수량과, 최적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정리하자면 재료역학을 다루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기본으로 한다.
① 재료의 영향을 받는다. (재료가 단단한 금속 또는 연한재질의 고무냐에 따라 다르다)
② 힘이 어디에 가해지는 것인가. (지우개의 표면적에서 가장 우측? 좌측? 중앙?)
힘이 어디에 더 많이 가해지고, 어디가 덜 가해졌는지 한 포인트 지점이 받는 힘이 필요하다.
③ 정지상태 (물체가 움직이지 않는 정지상태가 되어야 한다.)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물체가 따라
움직인다면 물체에 변형 이 가지 않는다.
그리고 재료역학을 하는 데 있어서 힘의 단위 또한 중요한데,
① 질량 1kg의 물체에 작용하여 1m/s의 가속도를 일으키는 힘의 크기를 1뉴턴(기호 N)이라 한다.
질량 1g의 물체에 작용하여 1cm/s의 가속도를 생기게 하는 힘의 크기를 1다인(기호 dyn)이라 한다.
② 질량 1kg의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1중량킬로그램(기호 kgw 또는 kgf)이라 한다.
1kgf의 힘은 질량 1kg의 물체에 중력가속도 g=9.8m/s 을 생기게 하는 힘이다.
따라서 1kgf=9.8N이다.
*질량: 어떤 물체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양을 뜻한다.
'Study_안나의 공부방 > 재료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장 - 재료역학 단위정리 (힘, 무게, 질량) (30) | 2023.04.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