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의 다락방

전착 도장이란? 본문

정보

전착 도장이란?

안나♪ 2024. 2. 20. 10:25
728x90
반응형

전처리의 다음 공정으로 차체를 전착도료(부식방지_코팅) 액체를 담가서, 전기를 통해 차체의 내부와
외부에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결론적으로 차체의 부식을 막고 도장의 마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착도장의 원리와 장정

 

수용성 도료조 속에 피도체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여 침지시키고 피도물과 그 대극 사이에 직류전류를 통해

피도물 표면에 전기적으로 도막을 부착시키는 것을 말한다.

좀 더 쉽게 풀어 쓰자면 금속 제품에 쓰이는 도장법으로 수용성 수지 도료를 집어넣은 탱크 속에 금속제의

피도장물을 넣고, 피도장물에 전류를 흘려 그 표면에 도막을 형성시키는 도장 방법.

 

양이온 입자는 음극으로, 음이론 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장점으로는

+ 방청성이 뛰어남.

+ 복잡한 형상에서도 도막의 두께가 일정하다.

+ 닫힌 단면에서의 마감성이 뛰어나다.

+ 도착 효율이 좋아 도료의 유실이 적다.

+ 표면의 파임, 기포 등의 불량이 적음.

+ 수성 도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로 적게듬.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플라스틱의 경우는 어떨까요?

플라스틱은 금속이 아닌 비금속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데? 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플라스틱 제품중 자동차 범퍼를 예를 들어볼까요?

자동차 범퍼를 지탱하며 잡아주는 지그에 범퍼를 올려놓습니다.

이 지그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지그에 전류를 흘립니다.

그 후 전류를 흘리며 분사시키는 분사 건 제품들이 있습니다.

 

자 다시 정리하면 지그에 +전류를 분사건을 통해 분사되는 도료에 -를 주며 분사시키면

범퍼에 도료가 흡착되는 효율이 전류를 주지 않을 때보다 좀 더 높아지겠죠?

 

이에 또 알 수 있는 점은 플라스틱 도료 전착방식에는 수조 방식이 아닌 분사 방식이란 것을 알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