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창작소설
- 안나
- CAD화면 조작
- 전착도장
- 판타지 소설
- 전착도장 원리
- wol
- UGNX12
- 3D프린터 운용기능사 공부
- CAD 마우스 조작
- CAD 라인 명령취소
- 인천 무료교육
- 재료역학
- CAD 확대 축소
- CAD zoom
- AUTO CAD
- 웹소설
- 도장전처리
- 도장개념
- 피도물 전착도장
- 인천 교육
- CAD 휠 줌 반전
- 방울토마토 키우기
- 소설
- 새싹 키우기
- 안나의 모험
- 3D프린터 공부
- NX12
- 인터넷 소설
- 티스토리 소설
- Today
- Total
목록Study_안나의 공부방 (14)
안나의 다락방

1) 3D 스캐닝의 종류, 방식, 장단점. ① 고정식 3D 스캐너 : 스캔을 하는 도중에 스캐너 혹은 피 측정물을 이동할 수 없는 방식의 스캐너를 일컫는다. ㄱ. 저가형 3D 스캐너 +두 개의 레이저 빔을 사용하며 측정 대상물에 투사 된 레이저 라인빔을 CCD혹은 CMOS 카메라에서 인식해서 삼각 측량법으로 그 좌표를 구한다. +두개의 레이저가 동시에 사용 되어 정밀하고 빠르게 측정 할 수 있다. +턴테이블이 돌아가기 때문에 360도의 모든 각도에서 측정 가능. +이송이 편리하다. -측정 도중에는 움직일 수 없다. -레이저가 투과하는 표면에 대한 측정은 잘되지 않는다. -레이저가 여러 방향으로 난반사가 일어날 경우에도 측정이 잘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피측정물에 특수 코팅을 수행한 다음 레이저 빔이..

1) 스캐닝의 뜻 (SCAN_스캔) : 종이 데이터 문서, 잡지, 스크랩, 사진 등등 광학 정보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그렇다면 3D 스캐닝은? 3D 스캐닝 : 측정 대상으로부터 3차원 좌표 X, Y, Z 값을 읽어 내는 일련의 과정. 2) 3차원 스캐닝 방식 측정 대상물의 준비 단계. 3차원 좌표를 다양한 측정 방식으로 추출하여 점군(point cloud)을 생성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3차원 모델로 구성하는 최종 단계 *점군(point cloud) : 점구름은 어떤 좌표계에 속한 점들의 집합이다. 3차원 좌표계에서 점은 보통 X, Y, Z 좌표로 정의되며 종종 사물의 표면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점구름은 3D 스캐너로 얻을 수 있다. (출처: 위키백과) 3) 3D 스캐닝 ..

단위에는 길이, 질량, 시간을 기본단위로 하고, 힘을 유도단위로 정한 절대단위가 있다. 국제단위계인 SI 단위계도 여기에 속한다. 그리고 길이, 무게, 시간을 기본단위로 하고, 질량을 유도단위로 정한 중력단위가 있다. 절대단위에서 힘의 단위로 뉴턴이(N)을 사용한다. *뉴턴: 질량 1kg의 물체에 1m/s²의 가속도를 주는 힘을 1뉴턴이라 한다. 1N=1kgf * m/s² *kgf: 킬로그램포스 또는 킬로그램 힘 (지구의 표준중력가속도에서 1kg의 질량을 가진 물체가 가지는 힘) *kg: 킬로그램 (질량의 단위) *질량: 어떤 물체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양 *물체: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사물 *물질: 물체를 이루고 있는 재료 물질이 지닌 고유의 성 *m/s² : (m미터) (/퍼) (s세크) (²제곱..

'재료역학' 이란 물체의 변형을 다루는 학문을 말한다. 그럼 여기서 또, 물체란 무엇인가? 물체란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사물을 뜻하고, 물질은 물체를 만드는 재료를 말한다. 그리고 물체의 변형이라 함은 변형이 가는 물체, 즉 강체(변형이 없는)가 아닌 변형체를 뜻한다. 예를들어 책상 위에 커다란 지우개가 놓여있고 이 지우개에 누르는 힘을 계속 더한다고 가정해 보자. 약한 힘에서 점차 힘을 가하면 오른쪽과 같이 지우개가 움푹 눌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변형이다. 변형은 변형인데 얼마만큼의 변형이 가는지를 가지고 공식을 꺼내어 풀어내는 것이 재료역학의 주요 핵심이라 볼 수 있다. 얼마만큼의 힘! 그리고 이 힘으로 하여금 물체에 얼마큼 변형이 갔는지 시작점에서 눌린 점까지의 거리가 2mm가 되는..